개발관련/Kubernetes
kubectl에서 연결할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변경하는 방법
bsc0227
2020. 1. 17. 12:58
반응형
여러개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로컬 pc에서 하나의 kubectl로 각 클러스터를 스위칭 해가며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.
예를 들어 아래 두 개의 클러스터가 있다고 가정한다.
- kube-cluster-1
- kube-cluster-2
그리고 kubectl을 사용할 pc(혹은 서버)의 ./kube/config 내용 중 contexts 내용이 아래와 같다고 가정한다.
...
contexts:
- context:
cluster: kube-cluster-1
user: foo@kube-cluster-1
name: foo@kube-cluster-1
- context:
cluster: kube-cluster-2
user: var@kube-cluster-2
name: var@kube-cluster-2
...
이 때 kubectl이 어떤 context로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가능하다.
(context는 kubectl이 사용할 연결에 대한 설정이라고 보면 된다.)
$ kubectl config current-context
foo@kube-cluster-1 # kubectl이 kube-cluster-1 클러스터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만약 현재 연결 되어있는 클러스터 말고 다른 클러스터로 연결해서 kubectl을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?
아래 명령어 처럼 사용할 context를 변경해주면 된다.
$ kubectl config use-context var@kube-cluster-2 # var 계정으로 kube-cluster-2에 연결
Switched to context "var@kube-cluster-2". # context가 스위칭 되었다는 메시지이다.
# kubectl의 context가 잘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 실행
$ kubectl config current-context
var@kube-cluster-2 # context가 잘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
https://kubernetes.io/docs/reference/kubectl/cheatsheet/#kubectl-context-and-configuration
kubectl Cheat Sheet
kubernetes.io
반응형